top of page

Puzzling

2020

  “…나는 가끔 몹시 불안한 기분에 휩싸이곤 한다. 어쩌면 내가 기억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상실해 버린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문득 들기 때문이다. 내 몸 속에 기억의 외딴 곳이라고나 부를 만한 어두운 부분이 있어서, 소중한 기억들이 모두 거기에 쌓여서는 부드러운 진창으로 변해 버린 건 아닌가 하고.”*

  이 작업은 지난 시간 나와 내 주변의 것들을 소중히 여기지 못한 스스로에 대한 반성과, 잦은 이사로 인한 물리적 단절로 무뎌진 기억들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시작된다. 이윽고 지금의 나를 구성하는 기억과 시간을 되찾고, 더욱 선명해진 ‘나’를 마주하면서 끝이 나게 된다.

  나는 내가 태어나서부터 열세 살까지 살아온 여섯 곳의 주거공간을 그 순서대로 방문했다. 그 과정은 일종의 기억을 되찾는 여로였다. 나는 흩어져 있던 기억의 파편들을 마주하고 사진을 찍음으로써 주워 담는다. 퇴색된 기억이 흐르는 시간과 마주하는 순간,  그것들은 ‘나’를 이루는 퍼즐의 조각으로 자리매김한다.


*무라카미 하루키, 『상실의 시대』 (문학사상사, 1989), p24


"...I am sometimes overcome with a terrible feeling of anxiety. It suddenly occurs to me that perhaps I have lost the most important part of my memory. I wonder if there is some dark place in my body, some remote part of my memory, where all my precious memories have accumulated and turned to soft mud."*

  The work begins with a reflection on my past failure to value myself and the things around me, and an obsession with memories that have been dulled by physical disconnection due to frequent moves. It ends with me reclaiming the memories and time that make up who I am now, and facing a clearer "me".

  I visited the six residences I lived in from birth to age thirteen, in that order, and the process was a kind of reminiscence journey. I confronted the scattered fragments of memory and collected them by photographing them. The moment the faded memories are confronted with the passage of time, they become pieces of the puzzle that make up 'me'.


*Haruki Murakami, Norwegian Wood

bottom of page